네이버 한문사전 사용하기
요즘은 한자 사전을 이용할 일이 별로 없습니다. 그냥 대부분 한글로 이용하기 때문에 구지 한자를 이용할일이 별로 없긴 해요 하지만 가끔 4자성어나 아니면 학교에서 숙제를 할때 아직은 한자수업이 있잖아요
한문시간에 나도 모르는 한자가 있을때 그리고 종종 중국어를 배우거나 할때 가끔씩 모르는 한자가 나오기도 해요 그리고 내이름 뜻풀이를 할때도 한자로 무슨뜻이더라 정확한 뜻풀이를 알면 좋긴 하죠
그래서 네이버를 통해서 한문사전 검색하면 바로 한자 검색이 가능합니다. 한글로 검색도 가능하고요 아니면 한자 획수를 이용해서 검색도 가능함을 알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신문도 한자랑 섞여서 나오기도 하고 아니면 옥편을 통해서 지금처럼 인터넷이 발달되지 않을때는 일일히 옥편 한자사전을 통해서 이게 무슨뜻인지 찾기도 하고 햇었는데요
지금은 간단하게 이렇게 검색만 하면 바로 한자도 알수 있고 아니면 영어나 기타 다른 외국어도 찾을수 있어서 훨씬 편리한것 같기도 합니다.
다음과 같이 네이버 한문사전 검색을 했어요
고사성어나 아니면 난이도별 한자 그리고 여러가지 한자 필기인식을 통해서 해당 한자가 무엇인지 바로 확인이 가능함을 알수 있습니다.
위와같이 위에 메뉴보면 영어 국어 한자 일본어등 쭉 언어가 나열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의 고사성어 보니까 경천애인이라고 뜻이 나와있고 그리고 같은 한자로 일본식 한자 중국식 한자등이 나왔음을 알수 있습니다.
우리가 부수별로 해서 한자를 찾을수도 있는데요 1획과 2획 이렇게 되어잇네요
일단 한자 횟수별로 해서 해당 단어가 무슨 단어인지 확인도 가능하고요
부수에 따라서 돼지해머리 어진사람인발 여덟팔 쌀포몸 민엄호 마늘모 점복등 다양한 부수모양과 함께 그밑에 이름이 나와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한자 구성원리 보니까 상형문자 지시문자 회의문자등 다양하게 분류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갑옷갑이나 아니면 갈거 클거등 다양하게 한문이 나와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상형문자라는 것이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거라고 하니까요 이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쭉 나열됨을 알수 있습니다.